논문
연구자 논문제목 학회 게재지명 게재권(집) 게재호 페이지 게재일자
<[이민경]> 학습 무기력 청소년의 자기주도적 학습경험 내러티브: 중3 학년 전환기 교육 캠프 사례 분석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31 1 p.119 2025.03.31
<[이민경]> 돌봄과 교육의 유기적 통합으로서 프랑스 교육복지 정책 분석: 한국사회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30 1 p.61 2024.03.31
<[이민경]>, 이예향 한국 교육 ODA 교사 연수에 참여한 아제르바이잔 교사들의 경험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36 4 p.27 2023.11.30
<[이민경]> 교육 ODA 경험에 대한 한국 교사들의 내러티브: 아제르바이잔 교사 대상 학습자 중심 교육역량 강화 연수 사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3 p.429 2023.02.15
<[이민경]> 코로나가 남긴 교육 상흔과 회복을 위한 시론 한국사회과학연구회 동향과 전망 115 p.172 2022.06.01
<[이민경]> 평등에서 경쟁으로?: 프랑스 대학입시 혁신의 특성과 쟁점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60 2 p.121 2022.04.30
<[이민경]> 미래역량을 위한 학습자 주도성에 기반한 교육의 의미와 효과 분석 : ‘희망학교’ 학생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34 4 p.107 2021.11.30
<[이민경]> ‘성장 학교’ 참여에 대한 학부모들의 내러티브: 선택 동기와 학교 경험에 대한 의미화를 중심으로 한국학부모학회 학부모연구 8 2 p.1 2021.04.30
<[이민경]>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적 내러티브: 공립형 미래학교 ‘더불어성장학교’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8 p.19 2020.09.30
<[이민경]> 프랑스의 교원 정책 분석 : 교원양성과 임용, 전보를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26 2 p.205 2020.06.30
<[이민경]> 청년들의 마음체제에 대한 질적 분석: 30대 싱글들의 불안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원 동향과 전망 109 p.97 2020.06.01
<[이민경]> 모든 학생들의 성공(La reussite de tous les eleves)과 미래역량교육을 위한 프랑스의 교육혁신 방향성과 실제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25 2 p.167 2019.06.30
<[이민경]> 학습자주도수업에 의한 배움의 재구성:거꾸로캠퍼스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 1 p.1259 2019.01.15
<[이민경]> 주제중심 융복합교육혁신 수업에 대한 거꾸로캠퍼스 사례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교육혁신연구 28 4 p.513 2018.12.31
<[이민경]> 프랑스 민주적 학교문화고찰: 중등학교 의사결정구조를 중심으로 전국사회교사모임 민주사회와 교육 00 00 p.121 2018.10.01
<[이민경]> 다문화사회통합을 위한 프랑스의 언어,문화교육정책:한국사회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현대사회와 다문화 8 1 p.88 2018.06.30
<[이민경]> Flipped Classroom as an alternative future class model? : Implications of South Korea’s social experiment Springer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6 3 p.837 2018.06.01
<[이민경]> 거꾸로교실이 학습자 중심 역량교육에 주는 함의 탐색: 교사들과 학부모들의 경험적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14 p.153 2017.07.31
<[이민경]> In defiance of school education Korean national commition for Unesco Korea Journal 56 3 p.33 2016.09.30
<[이민경]> 학생주도참여활동의 교육적 의미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22 3 p.235 2016.09.30
<[이민경]> 이주-정착-귀환의 행위자 네트워크: 베트남 미등록 이주여성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다문화 콘텐츠 기술연구원 다문화 콘텐츠 연구 22 p.223 2016.08.31
<[이민경]> 미등록 이주노동자 공동체의 특성과 역할 연구 부경대학교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인문사회과학연구 17 3 p.63 2016.08.31
<[이민경]> 프랑스의 민주적 학교문화고찰: 중등학교 의사결정구조를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22 1 p.259 2016.03.31
<[이민경]> 거꾸로교실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 다문화교육 수업 방법 탐색: 공평교수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3 p.737 2016.03.31
<[이민경]> 국제결혼가정 자녀들의 정체성 재구성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26 1 p.101 2016.03.31
<[이민경]> 교실수업혁신을 통한 미시적 교육개혁에 대한 시론적 고찰:거꾸로 교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동향과 전망 95 p.223 2015.10.01
<[이민경]> 중국 출신 고학력 결혼이주여성들의 자녀교육을 통해서 본 정체성 재구성: 대구 경북지역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21 2 p.147 2015.06.30
<[이민경]> 노동-유학-자녀교육의 동맹: 몽골이주 노동자 가정의 이주 정착 귀환의 행위자 네트워크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28 2 p.85 2015.05.31
<[이민경]> 프랑스 미등록 이주 아동 교육정책 고찰: 한국사회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42 1 p.29 2015.04.30
<[이민경]> 교실수업혁신의 가능성: 거꾸록 교실의 이해와 수업적용방안 강원도교육연구원 교육연구정보 67 p.105 2015.03.01
<[이민경]> 대학국제화 담론과 현실에 대한 대학교수들의 인식과 경험: 인문사회계 교수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28 1 p.1 2015.02.28
<[이민경]> 대학평생교육으로서 다문화교육과정 고찰 대구대학교 다문화 사회정책연구소 현대사회와 다문화 4 2 p.1 2014.12.30
<[이민경]> 미래교육페러다임 모델로서 거꾸로교실의 가능성 함께 여는 교육연구소 함께여는 교육 20 p.68 2014.07.17
<[이민경]> 거꾸로 교실의 교실사회학적 의미: 참여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24 2 p.00 2014.06.30
<[이민경]> 외 1명 미등록 이주 노동자 가정의 탈영토화.재영토화과정 분석: 자녀양육과 교육을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 연구 20 2 p.00 2014.06.30
<[이민경]> 미래사회의 변화와 핵심역량교육:교육혁신가능성으로서의 거꾸로교실(flipped classroom) 부산광역시교육연구정보원 부산교육 338 p.29 2014.06.30
<[이민경]> 새로운 교실만들기의 가능성 교육비평 교육비평 33 p.201 2014.05.30
<[이민경]> 거꾸로 교실의 의미와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41 1 p.87 2014.04.30
<[Min-Kyung LEE]> Why Chinese students choose Korea as their study destination in the global hierarchy of higher education? KDEI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10 2 p.315 2013.12.31
<[이민경]> 다문화 교육 연구 동향과 쟁점: 교육사회학 연구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 연구 23 4 p.177 2013.12.31
<[이민경]> 접촉지대에서의 갈등과 협상: 이주가정자녀교육기관 교사들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19 2 p.219 2013.06.30
<[이민경]> 외 1명 이주가정 자녀정책 해외사례분석: 방향성과 실제 다문화 사회정책 연구소 현대사회와 다문화 3 1 p.00 2013.06.30
<[이민경]> 새로운 사회를 여는 교육혁명 서평 국제이해교육학회 국제이해교육연구 8 1 p.75 2013.06.30
<[이민경]> 다문화 사회에서의 시민성 교육: 세계시민성과 환대의 개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26 2 p.115 2013.05.31
<[이민경]> 이주배경 아동ㆍ청소년 정책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대안 모색 : 가족과 교육 아젠다를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18 3 p.157 2012.10.31
<[이민경]> 지방대학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학동기 : A대학 아시아 유학생들의 한국유학 선택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 연구 18 2 p.177 2012.06.30
<[이민경]>, [김경근] 미등록 이주 노동자들의 초국적 가족 형성과 경계적 정체성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 연구 22 2 p.179 2012.06.30
<[이민경]>, 김경근 이주근로자 가정의 사회적 관계망과 자녀교육기획: 몽골학교 학부모들의 학교선택과 그 의미화를 중심으로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18 1 p.253 2012.02.29
<[이민경]>, [이수정] '다문화 아동 · 청소년' 정책 용어 사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대안 모색: 정책용어와 방향성에 대한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제 35집 2호 p.1 2011.12.31
<[이민경]>, [양계민] 다문화교육프로그램 효과성분석을 통한 교육방향성 고찰 대구대학교 다문화 사회정책 연구소 현대사회와 다문화 1 2 p.176 2011.12.31
<[이민경]> 외 1명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학교급별 다문화교육 목표와 내용체계구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과정평가연구 14 3 p.157 2011.11.15
<[이민경]> 외 1명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유학동기와 경험 연구:서울 A 대학 석사과정 학생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동아연구 30권 2호 p.73 2011.08.31
<[이민경]> 교원양성기관에서의 다문화 교육과정 방향성 고찰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학교교육연구 16권 2호 p.25 2011.01.31
<[이민경]> 홈스쿨링 청소년들의 유형과 의미분석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제 16권 3호 p.155 2010.10.31
<[이민경]> 한국 다문화교육정책 전개과정과 담론 분석: 교과부의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지원정책(2006-2009)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37 2 p.155 2010.07.31
<[이민경]> 외 1명 이주가정 학부모들의 자녀교육욕구: 자녀교육표출양상과 의미화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20권 2호 p.129 2010.06.30
<[이민경]> 외 3명 다문화교육 연구학교의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42 2 p.29 2010.06.30
<[Min-Kyung Lee]> 외 1명 LE SURINVESTISSEMENT DES MERES COREENES POUR LA REUSSITE SCOLAIRE DES ENFANTS L'HARMATTAN LA REVUE INTERNATIONAL DE L;EDUCATION FAMILIALE 26 p.117 2010.01.31
<[이민경]> 프랑스 학부모의 학교교육참여: 배경과 실제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 연구 34집 p.59 2009.07.31
<[이민경]> 외 1명 이주 근로자 가정 청소년들의 적응전략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 연구 19 2 p.107 2009.06.30
<[이민경]> 대학생들의 교육경험담론 분석-입시교육과 진로경험의 의미화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 31 p.79 2008.07.31
<[이민경]> 한국사회의 다문화교육 방향성 고찰-서구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18 2 p.83 2008.06.30
<[이민경]> 세계화 다문화시대와 프랑스의 평생학습 충청북도 교육과학연구원 충북 교육연구 p.21 2008.06.30
<이민경> 외 1명 교사들이 지각한 잠재적 학습중단의 유형과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35 1 p.79 2008.04.30
<[이민경]> 프랑스 다문화 교육의 배경과 쟁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과정평가연구 10 2 p.53 2007.11.15
<[이민경]> 중산층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담론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17 3 p.159 2007.09.30
<[이민경]> INVESTISSEMENT SUR L'EDUCATION DES ENFANTS ET IDENTITE DES MERES COREENNES 프랑스 Univ. Paris 10 교육학 박사 p.1 2006.11.06